티스토리 뷰
목차
국민연금 자동납부를 하고 싶지 않을 때, 직장을 옮기거나 소득이 줄어들었을 때, 카드 납부로 바꾸고 싶을 때
국민연금 자동이체 해지 및 변경을 해야 합니다.
근데 저도 그렇고 많은 분들이 국민연금 자동이체 해지 방법을 잘 모르더라고요.
그래서 오늘 이 글에서 국민연금 자동이체 해지 및 변경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국민연금 자동이체 해지 방법
소득 변동, 납부 방식 변경 등 다양한 이유로 국민연금 자동이체 해지를 하는데요.
자동이체 해지를 미루다 보면 매달 몇만 원씩 빠져나가니 손해를 보는 셈입니다.
그러니 더 늦기 전에 빨리 해보세요.
국민연금 자동이체 해지 방법은 다양한 채널을 통해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습니다.
✅ 사회보험통합징수포털 이용 (추천)
- 사회보험통합징수포털 홈페이지에 접속
- '개인' 또는 '사업장'으로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간편 인증 중 하나를 선택하여 로그인
- 메인 화면에서 '신청서비스' 클릭
- '자동이체 신청/해지' 메뉴 선택
- 화면에 표시되는 납부 대상(국민연금)을 선택하고 '해지' 버튼 클릭하여 절차 완료
사회보험통합징수포털
si4n.nhis.or.kr
✅ 전화로 간편하게 해지
- 국민건강보험공단 고객센터 : 1577-1000 (평일 09시 ~ 20시, 주말 및 공휴일 제외)
- 4대 사회보험 통합징수를 담당하므로 국민연금 자동이체 해지 문의 가능
- 국민연금공단 고객센터 : 국번 없이 1355 (유료, 평일 09시 ~ 18시)
- 국민연금 전문 상담 가능
- 주의사항 : 전화 연결 후 본인 확인 절차가 필요하므로, 개인 정보를 미리 준비
✅ 직접 방문하여 해지
- 가까운 국민연금공단 지사 를 방문하여 해지 요청
- 방문 후 비치된 서식을 작성하거나, 상담원에게 직접 자동이체 해지 요청
- 준비물 : 신분증을 반드시 지참
* 국민연금 자동이체 해지 신청 시점에 따라 해당 월의 연금 보험료는 이미 납부 처리될 수 있습니다.
다음 달부터 자동이체가 해지되는지 꼭 확인하세요!
국민연금 자동이체 변경 방법
국민연금 자동이체 변경에는 주로 납부 계좌 변경, 자동이체일 변경, 그리고 카드 납부로 변경이 있습니다.
납부 계좌 변경과 자동이체일 변경은 해지하면서 동시에 진행 할 수 있지만, 카드 납부는 다릅니다.
그래서 국민연금 자동이체 변경 방법 중 '카드 납부'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 사회보험통합징수포털 이용
- 기존 계좌 자동이체를 해지 한 후, '자동이체 신청' 메뉴에서 '신용카드 자동이체'를 선택하여 신청
- '보험료 납부' 메뉴에서 통합납부자번호를 입력하여 일회성으로 신용카드 납부도 가능
✅ 인터넷지로 사이트 이용
- 인터넷지로 사이트에 접속하여 공동인증서로 로그인
- 메인화면에서 [사회보험료] > [국민연금보험료]을 선택 후, 신용/체크카드로 납부
✅ 고객센터 전화
- 국민건강보험공단 고객센터(1577-1000) 또는 국민연금공단 고객센터(1355)를 통해 카드 납부 관련 문의 및 신청
❗ 유의사항
- 신용카드/체크카드 납부 시에는 납부대행수수료가 발생 (신용카드 0.8%, 체크카드 0.5%)
- 해외 발급 카드, 법인 카드, 무기명 선불카드 등 일부 카드는 납부가 불가
- 대부분의 경우 납부 고객명과 카드 소유자가 달라도 신청 가능
국민연금 자동이체 해지 및 변경 관련 유의사항
국민연금 자동이체 해지 및 변경 관련해서 몇 가지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꼭 한 번 읽어보시고, 해지 및 변경을 진행하세요.
- 신청/해지 가능 시간 : 온라인 서비스는 보통 06시 ~ 22시 (주말 제외)에 가능
- 적용 시점 : 납부일 2일(영업일 기준) 전 18시까지 자동이체를 등록 및 해지해야 해당 달부터 적용
- 중복 출금 주의 : 기존 자동이체 서비스를 해지하지 않고 새로운 자동이체를 신청하면 일시적으로 이중 출금
- 계약자 본인 계좌/카드 : 자동이체는 국민연금 가입자 또는 납부 의무자 본인 명의의 계좌나 카드로만 신청/변경이 가능
국민연금 자동이체 해지 및 변경은 복잡하거나 어렵지 않습니다.
위에 설명해드린 방법대로 따라 하시면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