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2025년 7월 22일, 단통법이 마침내 폐지됩니다.
지난 2014년 시행된 이후, 약 11년 만인데요.
단통법이 폐지가 되면 휴대폰 시장은 물론, 이동통신 산업 전반에 걸쳐 큰 변화의 바람이 불어올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 이 글에서 단통법 폐지 기대 효과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단통법 폐지 언제부터?
단통법 폐지 법안과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이 2024년 12월 26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습니다.
법은 공포 후 6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되므로, 정확한 단통법 폐지 시기는 2025년 7월 22일 이후일 것 같습니다.
단통법 폐지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공시지원금 제도 폐지 : 통신사가 단말기 구매 보조금을 반드시 공시할 필요가 없어집니다.
- 추가지원금 상한 폐지 : 대리점의 추가지원금 상한이 없어지면서, 자율적으로 지원금을 정할 수 있게 됩니다.
- 지원금 차등 지급 허용 : 가입 유형이나 요금제에 따라 보조금을 다르게 지급하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단통법 폐지 기대 효과
단통법 폐지의 핵심은 규제 완화를 통한 시장의 자율성 증대에 있습니다.
통신사들의 공격적인 마케팅과 대리점의 고객 유치 경쟁은 소비자들에게 좋습니다.
자세한 긍정적인 효과는 아래 내용을 참고해 보세요.
휴대폰 구매 부담 완화
단통법 폐지 기대 효과 중 가장 핵심은 '휴대폰 구매 부담 완화'입니다.
단통법은 통신사들이 제공할 수 있는 공시지원금의 상한을 정해 어딜 가든 비슷한 가격을 내도록 강제했는데요.
그래서 저도 흔히 말하는 '성지'를 찾으러 발품을 엄청 팔았었습니다.
근데 이 단통법이 폐지되면 '휴대폰 구매'의 부담이 완하가 됩니다.
✅ 공시지원금 상한 폐지
- 통신사들은 단통법 폐지로 더 이상 지원금 규모에 대한 제한받지 않음
- 고객 유치를 위한 경쟁 치열해지면서, 보다 공격적인 지원금을 제공할 가능성 커짐
- 스마트폰 출시 시점에 맞춰 대규모 지원금 경쟁이 펼쳐질 것으로 예상
✅ 번호이동/신규가입/기기변경 차별 해소
- 단통법 시절엔 번호이동 고객에게 더 많은 혜택이 집중됨
- 폐지가 되면, 모든 가입 유형의 고객에게 합리적인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유도
- 오랫동안 한 통신사를 이용해 온 고객도 기기변경 시 충분한 혜택을 받을 수 있음
시장 경쟁 촉진
단통법은 시장의 투명성을 내세웠지만, 결과적으로는 경쟁을 억제하고 시장에 정체를 불러왔습니다.
하지만 단통법 폐지 이후에는 경쟁의 활성화를 통해 시장에 새로운 활력이 더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 요금제 결합 할인, 멤버십 혜택 강화, 프리미엄 서비스 제공 등 통신사 간 마케팅 경쟁 심화
- 판매점/대리점 간의 경쟁을 촉진하고, 소비자는 특정 매장에서 더 좋은 조건으로 폰을 구매
- 특정 제조사의 신규 스마트폰 출시 시점에 맞춰 통신사들이 대규모 마케팅과 지원금 정책
이러한 경쟁 활성화는 장기적으로 이동통신 시장의 역동성을 높을 것입니다.
이로 인해, 소비자의 권익을 증진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번에 삼성 갤럭시 Z 플립 7과 Z 폴더 7가 출시되었는데, 단통법 폐지 효과를 노려보시는 것도 나쁘지 않아 보여요.
단통법 폐지 우려
단통법 폐지가 긍정적인 효과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시장의 자율성을 되찾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과 우려의 목소리 또한 존재합니다.
- 지원금 규모가 매장마다, 시기마다 천차만별로 달라지기 때문에 '정보 비대칭의 심화' 발생 가능
- 비공식적인 지원금이 만연해지면, 일부 불량 판매자들이 악용하여 소비자들을 기만하거나 폭리 취할 가능성
- 통신사들은 특정 고가 요금제에 가입해야만 더 많은 지원금을 제공하는 방식 사용할 가능성
- 단말기 지원금 출혈 경쟁이 심화되면, 이를 만회하기 위해 통신요금 인상하려는 움직임을 보일 수 있음
정부와 통신사는 단통법 폐지의 긍정적 효과를 극대화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을 지속해야 합니다.
소비자도 스스로 정보를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다양한 옵션을 비교 분석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