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요즘 청년들에게 가장 핫한 금융상품이 바로 청년도약계좌인 것 같습니다.
높은 이자율과 비과세 혜택 때문에 저도 지금 꼼꼼하게 살펴보고 가입하려고 해요.
지속되는 물가상승과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자산형성에 도움이 되는 청년도약계좌.
어떻게 신청하고 어느 은행이 유리한지 궁금하시죠?
이 글에서 2025 청년도약계좌 조건, 신청방법과 은행별 금리 비교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34세 청년들의 자산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정부 지원 금융상품입니다.
일정 소득 이하 청년이 매월 일정액을 적립하면 정부가 추가 지원금을 제공하고,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까지 주는 제도입니다.
최대 연 5%의 우대금리와 함께 정부지원금까지 받을 수 있어 실질 수익률은 더 높아요!
신청 자격 조건
청년도약계좌를 신청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자격 조건을 충족해야 해야 합니다.
- [나이] 계좌 개설일(가입일) 기준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여야 조건이 됩니다. *병역이행기간(최대 6년)은 연령 계산 시 빼고 계산
- [개인소득] 직전 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7,500만 원 이하이며,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액 6,300만 원 이하
-[가구소득]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에 해당해야 자격을 갖추게 됩니다.
가구원수 | 기준 중위소득 250%(연) |
1인 가구 | 62,336,760 |
2인 가구 | 103,684,650 |
3인 가구 | 133,044,480 |
4인 가구 | 162,028,920 |
5인 가구 | 189,920,640 |
6인 가구 | 216,839,430 |
7인 가구 | 243,225,450 |
*참고 : 23년 기준 중위소득 250%
위 자격조건은 반드시 지켜져야 신청이 가능합니다.
나이는 본인이 바로 확인할 수 있지만, 개인소득과 가구소득은 심사기간에서 확인을 합니다.
신청방법
청년도약계좌의 신청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매월 초 취급은행 앱에서 청년도약계좌 신청을 해야 합니다.
신청 후 약 2주 뒤에 가입심사가 이루어지고, 익월 초에 계좌개설을 할 수 있습니다.
※개인 및 가구소득 확인 세부 절차 (약 2주 소요)
① 나이 및 개인소득 확인 ② 가구원 확정 및 정보제공 동의 ③ 가구소득 확인 ④ 확인결과 통보
* 행정정보공동이용서비스를 통해 전면 비대면 확인 시행(행안부, 국세청, 병무청)
※ 개인소득은 가입일로부터 1년 주기로 유지심사를 통해 현행화하여 기여금 지급여부 및 규모 조정
2025년 4월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입니다.
4월은 11일까지니 신청을 희망하시는 분은 하루빨리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은행별 금리 비교
청년도약계좌의 은행별 기본금리와 우대금리는 조금씩 다릅니다.
2025년 기준 주요 은행별 금리를 비교해 봤으니 참고하세요.
메이저 은행의 기본 금리와 우대 금리눈 똑같습니다.
이럴때는 자신의 주 거래 은행으로 신청하는 것도 나쁘지 않아 보여요.
저는 제 주거래 은행인 '신한은행'으로 신청 했어요.
은행 | 기본 금리 | 우대 금리 |
IBK 기업은행 | 4.5% | 6% |
KB 국민은행 | 4.5% | 6% |
NH 농협은행 | 4.5% | 6% |
신한은행 | 4.5% | 6% |
우리은행 | 4.5% | 6% |
하나은행 | 4.5% | 6% |
IM뱅크 | 4% | 6% |
경남은행 | 4% | 6% |
부산은행 | 4% | 6% |
전북은행 | 3.8% | 6% |
광주은행 | 3.8% | 6% |
은행별 금리를 비교했으니, 이제 신청하러 가야겠죠??
유의사항
- 취급은행을 통틀어 1명당 1개의 계좌만 가입 가능합니다.
- 가입일 현재 직전 과세기간의 금융소득종합세가 확정되지 않아 전전 과세기간까지만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 여부가 확인된 경우, 직전 과세기간의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로 확인되는 시점부터 납입 중지 됩니다.
- [공공재정 부정청구 금지 및 부정이익 환수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부정이익으로 확인되는 경우 환수 등의 제재 가능
스마트한 청년도약계좌 활용법
청년도약계좌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전략을 고려해 보세요
- 월 납입한도 최대한 활용: 가능하다면 월 최대 납입액을 유지하세요
- 우대금리 조건 충족: 각 은행별 우대금리 조건을 꼼꼼히 확인하고 충족하세요
- 자동이체 설정: 납입일을 놓치지 않도록 자동이체를 설정하세요
- 정부지원금 계산: 본인의 소득구간에 따른 정부지원금을 미리 계산해보세요